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

[묵시문학 2부] 신약시대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바라보신 종말은 기독교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묵시사상의 밑바탕 #내용 #구조묵시사상은 창조를 선하고 아름다운것으로 봅니다. 이 세상을 악한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영지주의죠. 하나님의 선한창조 이후에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사탄과 마귀들이 세상 권세를 획득하게 되는데요. 이로써 세상은 점점 더 악해지고 인간은 구원과 더 멀어지게 되었다고 여기게 됩니다. 따라서 이 세상은 점점 더 악해지기 때문에 더 나은 방향으로의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을꺼라 여기게 되었던 것이었죠. 수많은 전쟁과 재난의 역사를 경험했던 그들이었기에, 더 이상 이 고통이 지속되는 역사속에서 희망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이 세상이 아닌 저 미래에 희망을 두게 되는데요. 악한 세력이 권세를 쥐고 있는 이 세상은 그들에겐 멸망의 대상이었던 것이었습니다. 이 세상이 끝나야만 하나.. 2024. 12. 25.
[묵시문학 1부]묵시문학이란? 다니엘, 요한계시록 같은 비밀스러운 책이 등장한 이유? 정말 세상의 종말을 기대하는 것인가? 묵시문학이란 무엇인가? #정의 #Apocalypsis #묵시 #계시록기독교인들에겐 친숙하지만, 읽기는 어려운 그런 책이 하나 있죠. 바로 요한계시록인데요. 이렇게 계시록과 같은 비밀스러운 책들을 묵시문학이라고 부릅니다. 이 "묵시"라는 단어는요. 당시 그리스의 언어인 헬라어로 아포칼립시스(Apocalypsis)라고 하는데요. 마치 덮개를 벗겨내는것 처럼 "감추어져 있는 것을 드러내 보인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묵시문학은 신실한 하나님에 대한 믿음으로 부터 출발하는데요. 하나님께서 반드시 악을 멸하실 것이라는 그 믿음이 바탕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외부의 억압을 받았던 유대사회에서는 이 종말이라는 것이 두렵고 무서운 것이 아니라 의미있고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 되었죠. 왜냐하면 억.. 2024. 12. 25.
[영지주의 2부] 영지주의자들의 극단적인 삶이 기독교 공동체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금욕주의, 쾌락주의 영지주의의 영향 #금욕주의 #방탕주의영지주의 사상은 신약시대 당시 양극화 된 생활 방식으로 나타나면서 윤리와 도덕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됩니다. 영지주의는 영적인 것만을 강조하고 육적인 것들은 멸시하기 때문에 극닥적인 생활방식을 초래하게 되는데요. 물질세계, 즉 육적인 것들을 악하다고 보고 육에 관련된 것들을 철저하게 배척하는 금욕주의로 나타나기도 하고 또 그 반대로 우리의 영은 신께 속해 있기 때문에 육적인 것들은 우리의 영혼에 절대 해를 끼칠수 없다고 보고 정욕대로 살아가는 방탕주의 혹은 쾌락주의로 나타나기도했습니다. 이러한 육신의 멸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는데요. 이 세상을 멀리하고 배척하거나, 혹은 숨어지내거나, 또 혼인을 금하고 음식물을 가려 취하거나 아니면 술에 취해 방종한 삶을 살거나.. 2024. 12. 1.
[영지주의 1부] 영지주의란 무엇인가? 신약시대에 기독교 공동체를 위협한 위험한 사상 영지주의란? #gnosis영지라는 것은 지식, 영적 지식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식, 통찰, 숙지, 깨달음 같은 영적 지식이죠. 특히 이 영지는 신의 계시를 통한 특별한 지식을 일컫는데, 이 영지주의에 따르면 인간은 신의 영역에 속한 존재이며, 또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신의 지식을 소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신약시대 당시에 이런 사상들 때문에 여러 문제들이 생겨나게 되는데요. 생활 방식이 극닥적으로 양극화 되거나, 영적인 것들만을 우선시 하는 영적 엘리트주의를 초래한다거나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영지주의는 기독교 신앙을 위협하게 되고, 또 공동체 내부에 혼란을 가져오게 되는데요. 우리는 어렵지 않게 신약성서의 여러책에서 영지주의와 관련된 내용들을 찾아 볼수가 있습니다.당시 이런 .. 2024. 12. 1.
바리새파(바리새인), 하시딤(경건한자들)에서 파생 된 유대교 종파 바리새파는 신약성서에서 예수님과 대립한 유대교의 한 종파입니다. 바리새인들의 신앙과 삶을 살펴보면, 예수님과 대립했던 주요 문제들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들 또한 우리의 신앙과 삶을 점검해 보게 되고, 예수님의 가르침 속에서 중요한 교훈들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하시딤(경건)운동에서 파생된 바리새파 바리새파는 마카베오(마카비)시대 때 하시딤(경건한 자들)에서 파생된 유대교의 한 종파입니다. 하시딤 운동에 기원을 두며, 철저하게 율법을 준수하는 종파였습니다. 특히나 정결법을 강조하며 부정한 것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세상과 자신들을 분리시켜, "분리주의자"라고도 불립니다. 당시 급속하게 그리스 문화(헬레니즘)가 퍼져가는 과정에서 형성 되었기 때문에, 시작은 이방인 풍습과의 분리.. 2023. 4. 13.
신약성경 속 사두개인(사두개파), 정치적이고 보수적인 유대교 종파 신약성경 속 사두개인들은 천사와 몸의 부활을 부인하는 등 현실주의적인 집단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당시의 이방 정부를 인정하고 협조하는 태도로 부와 권력을 누렸지만, 예루살렘 함락과 동시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 유대교의 한 종파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두개파에 대한 자료들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신약성경의 기록들과 고대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의 증언들로 사두개파가 어떠한 종파였는지 대략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사독과 관련된 제사장 가문 사두개파는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대제사장으로 활동했던 "사독"이라는 인물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윗왕 시대에 아비아달과 함께 활동했다가 솔로몬왕 시대에 아비아달이 아나돗으로 유배를 당하면서, 단독으로 대제사장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솔로몬왕 시대.. 2023. 4. 8.
유대사회에서 사마리아인의 위치, 유대인과의 갈등 유대 사회에서 사마리아인들의 위치를 살펴보는 것은 신약성경에서 사마리아인들의 등장이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파악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혼혈 민족인 사마리아인들과 유대인들의 갈등을 알게 되면, 예수께서 보여주신 말씀들과 행동들이 당시 부패한 유대 사회의 지도층들에게 어떻게 다가왔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사마리아인에 대한 유대 사회의 편견 고대 사회에서는 사마리아인들에 대한 편견이 심했다고 합니다. 사마리아인들은 북이스라엘의 후손으로 앗수르에 멸망(주전722-721) 당한 이후 앗수르의 혼합정책(혼혈정책)으로 인해 이스라엘 민족으로서의 순수성을 잃어버린 민족으로 간주 되었다고 합니다. 북 이스라엘의 멸망 이후 대제사장 및 고위계층은 앗수르 지역으로 강제 이주 했으며, 남은 사람들은 앗수르 민족과 잡혼.. 2023. 4. 2.
신약시대 고대 사회의 명예와 수치(불명예) 신약성경에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들과 사람들이 묘사됩니다. 이것은 당시 국교이자 종교로서 유대인의 삶에서 분리될 수 없었던 유대교의 전통을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를 따름으로써 주어지는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서의 새로운 신분과 명예를 얻게 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당시 고대 사회에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규범들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곧 명예를 잃게 되는 행위였다고 합니다. 유대인뿐만 아니라 개종한 로마인들이나 다른 지역 이방인들도 속한 사회에서 명예를 잃는 것은 마찬가지였습니다. 명예를 잃는다는 것은 곧 비난과 핍박을 불러오며, 불이익을 안겨 주게 되는 것이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은 로마인들 눈에는 그리스-로마 문화를 따르지 않고 배척하는 천박한.. 2023. 3. 28.
신약성경 시대에 여성의 지위와 역할 그리고 고대 사회의 남성과 여성의 특징들 개요 고대 사회에서의 여성들에 대한 이해는 신약의 서신서들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서신서들 뿐만 아니라 복음서들에 등장하는 여인들의 의미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신약시대의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 고대 지중해 연안 사회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남성과 여성은 서로의 역할에 대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없었고,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신이 내려준 것이라 여겼던 시대였습니다. 남성은 집 밖에서 이루어지는 공적인 일, 여성은 집 안에서 이루어지는 가사 일이 그 주된 역할이었습니다. 여성은 공적인 삶에 참여가 불가능했습니다. 외출 시에도 머리에 가리개를 쓰고 외출하며, 이를 어기는 것은 당시 미풍양속을 해치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이것은 집에서 쫓겨날 수도 있는.. 2023.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