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 사회에서 사마리아인들의 위치를 살펴보는 것은 신약성경에서 사마리아인들의 등장이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파악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혼혈 민족인 사마리아인들과 유대인들의 갈등을 알게 되면, 예수께서 보여주신 말씀들과 행동들이 당시 부패한 유대 사회의 지도층들에게 어떻게 다가왔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사마리아인에 대한 유대 사회의 편견
고대 사회에서는 사마리아인들에 대한 편견이 심했다고 합니다. 사마리아인들은 북이스라엘의 후손으로 앗수르에 멸망(주전722-721) 당한 이후 앗수르의 혼합정책(혼혈정책)으로 인해 이스라엘 민족으로서의 순수성을 잃어버린 민족으로 간주 되었다고 합니다. 북 이스라엘의 멸망 이후 대제사장 및 고위계층은 앗수르 지역으로 강제 이주 했으며, 남은 사람들은 앗수르 민족과 잡혼이 이루어져 이방인들과 피가 섞인 혼혈 민족이 생겨나는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유대인도 아닌 이방인도 아닌 민족으로 생각했으며, 벤 시라의 '집회서'(외경)에서는 사마리아인들을 '블레셋'보다 못한 민족으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유대인과 사마리아인의 갈등
남유다의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동족으로 인정하지 않고, 이방인으로 취급하며 배척했습니다.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 성전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사마리아인들은 유대인들에게 배척을 당하게 되고, 스룹바벨의 성전 건축을 방해하게 됩니다(에스라 4장). 배척당한 사마리아인들은 알렉산더 대왕 시대(헬레니즘 시대) 쯤에 모세가 여호수아에게 축복을 명령한 그리심 산에 그들만의 성전을 건축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유대인과 사마리아인의 갈등이 고조 됩니다.
하스몬 왕가의 '요한 힐카누스'는 결국 그리심 산을 공격하게 되고, 이후 신약시대까지 사마리아인들과 유대인들의 긴장 상태는 계속 이어지게 됩니다. 요한복음 4장 9절에 기록된 "유대인이 사마리아인과 상종하지 아니함이라"는 구절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유대인과 사마리아인들의 중요한 갈등의 요소는 예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마리아인들은 자신들의 예배가 진정한 예배임을 드러내기 위해 모세오경을 수정한 자신들만의 사마리아 오경을 정경으로 삼게 됩니다.
갈등의 요소들
유대 사회에서는 사마리아 사람이라는 것이 욕설로 간주 되었으며(요8:48), 유대인들이 북쪽으로 이동할 때 지리상 유대 지역의 북쪽에 위치했던 사마리아 지역을 우회해서 이동하는 것이 습관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사마리아 여인은 매우 부정한 여인으로 취급되었으며, 부정을 타게 만든느자로 간주 되었습니다. 사마리아 여인이 닿거나 만지는 것들은 부정하게 되며, 정결법을 어기는 것으로 엄격히 규제 되었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에 대해 얼마나 경멸적인 태도를 지녔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엄격한 규제들은 사마리아인들과의 혼인을 방지하려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것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신약시대 고대 사회의 명예와 수치(불명예)
신약성경에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들과 사람들이 묘사됩니다. 이것은 당시 국교이자 종교로서 유대인의 삶에서 분리될 수 없었던 유대교의 전통을 버리는 것을 의미합
gongjeon.tistory.com
신약성경 시대에 여성의 지위와 역할 그리고 고대 사회의 남성과 여성의 특징들
개요 고대 사회에서의 여성들에 대한 이해는 신약의 서신서들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서신서들 뿐만 아니라 복음서들에 등장하는 여인들의 의미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제공
gongjeon.tistory.com
신약시대 유대-로마 전쟁, 재앙의 시대, 예루살렘 함락
개요 유대-로마 전쟁으로 예루살렘은 함락 되었고, 성전이 폐허가 되면서 성전 중심의 사두개파가 몰락합니다. 이 과정에서 제의 중심의 유대교가 회당과 랍비 중심의 유대교로 변화하게 되었
gongjeon.tistory.com
댓글